[Centos 7] SNMP 서비스 적용- InfluxDB, Telegraf, Grafana(3)
manager 가상머신인 kkj2-mgr에 InfluxDB를 설치해보자.
1. wget 설치
# yum install -y wget

2. influxdb rpm 다운로드
https://not-to-be-reset.tistory.com/24?category=804694
[CentOS 7] InfluxDB 설치
https://www.popit.kr/influxdb_telegraf_grafana_1/ InfluxDB, Telegraf, Grafana 를 활용한 Monitoring System 만들기(1) | Popit InfluxDB(저장), Telegraf(수집), Grafana(대시보드) 조합으로 모니터링 시스템..
not-to-be-reset.tistory.com
해당 게시물의 링크로 가서 원하는 버전의 rpm을 다운로드 해도되고, wget을 사용해도 됩니다.
# wget https://repos.influxdata.com/rhel/7/x86_64/stable/influxdb-0.10.0-1.x86_64.rpm

3. influx rpm 설치
# yum localinstall -y influxdb-0.10.0-1.x86_64.rpm

# systemctl status influxdb
# systemctl start influxdb

4. InfluxDB web 접속(8083포트, 8086)
InfluxDB의 admin페이지 접속 포트는 8083, 데이터 송수신 포트는 8086이므로 두 포트를 열어 주어야 한다.
#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83/tcp --permanent
#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86/tcp --permanent
# firewall-cmd --reload
#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list all을 했을 때, 아래와 같이 뜨면 성공.

5. 8083포트, 8086포트로 접속

web에서 쿼리문을 작성하여 db를 조작 할 수 있다. (MySQL의 워크벤치보다 편한듯)
(PS. InfluxDB 1.3 버전부터는 위와같이 web관리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래의 8086포트로 접근했을 때, 404 page not found 문구만 나타나면 설정이 잘 된겁니다!!)
https://docs.influxdata.com/influxdb/v1.5/tools/web_admin/

'404 page not pound' 문구가 뜨면 성공. 당황하지 마라 정상이다. 예~~~전 버전은 8086 페이지도 UI로 지원을 했었는데 언젠가부터 지원을 안한다나 뭐라나~
어쨋든 성공이다.
6. cli로 InfluxDB 접속해보기
# influx

단순히 influx만 입력하면 접속이 된다. 성공!
다음은 Telegraf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