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ubporcess path
- centos pyhon 설치
- InfluxDB
- python subprocess
- python os
- c++ 정규식
- snmp
- python popen
- influxdb 설치
- 백준
- linux시간으로 변경
- 정규식 컴파일
- c3 축 가리기
- selinux port 등록
- c3 second
- 정규식 활용
- 1697
- gcc regex
- 정규식 문자열 출력
- g++ 업데이트
- c3 초
- snmp test
- gcc 업데이트
- c3 step graph
- c3 축 없애기
- semanage
- regex_search
- grafana dashboard
- CentOS7
- telegraf
- Today
- Total
목록Linux Tips (49)
리셋 되지 말자
https://www.popit.kr/influxdb_telegraf_grafana_1/ InfluxDB, Telegraf, Grafana 를 활용한 Monitoring System 만들기(1) | Popit InfluxDB(저장), Telegraf(수집), Grafana(대시보드) 조합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만드는 내용 입니다. linux system 및 mysql 모니터링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그외 다양한 모니터링을 위해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Happy Monitoring ~ :) www.popit.kr 해당 블로그의 링크로 wget을 할 경우 오래걸리거나 오류가 생겼었습니다. RPM 파일이 따로 필요하신분들은 메일을 남겨주세요. 2020. 1. 17 추가 https://repos.influxdata..
https://www.fosslinux.com/8328/how-to-install-and-configure-grafana-on-centos-7.htm
sudo vi /etc/resolv.conf 에 nameserver 8.8.8.8 을 추가해준당.
https://amoldighe.github.io/2017/12/20/kvm-networking/
1. 설치 가능한 jdk 목록 확인 # yum list java*jdk-devel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 * base: mirror.kakao.com * extras: mirror.kakao.com * updates: mirror.kakao.com Installed Packages java-1.8.0-openjdk-devel.x86_64 1:1.8.0.232.b09-0.el7_7 @updates Available Packages java-1.6.0-openjdk-devel.x86_64 1:1.6.0.41-1.13.13.1.el7_3 base java-1.7.0-openjdk-devel.x86_64 ..
Another app is currently holding the yum lock 대충 yum이 꼬였다는 말인 듯 1. yum 프로세스를 kill 해보자. # ps -ef | grep yum # kill -0 (프로세스 번호) 2. yum.pid 삭제 # rm -rf /var/run/yum.pid

putty.exe를 이용하여 putty를 설치해준다. 그러면 pscp 도 함께 설치가 되는데 이걸 이용해서 Linux로 파일을 전송해보자. cmd창을 열고 pscp.exe를 입력해본다. 위와 같이 뜨면, pscp를 이용할 준비가 끝났다. (위와 같이 출력 화면이 뜨지 않으면, 아래의 경로를 확인해 주자. default 설치 경로이다. 따로 지정해 줬으면 찾아야 한다...) C:\Program Files (x86)\PuTTY C드라이브에 tempp 폴더를 생성하였고, 이 폴더 안의 파일들을 Linux의 /temp 디렉터리로 전송한다. pscp C:\tempp\* root@192.168.0.2:/temp 파일 하나하나 전송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 방법이 제일 편해서 이걸 주로 쓰는 중... 위와 같이 사용법..
ssh로 서버에 접속하려고 할 때,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이라는 에러가 나타날 때가 있다. 접속하려는 내 PC가 A이고, 접속을 하는 서버가 B 라고 할때, A로 B에 ssh로 접속을 한 적이 있는데, IP주소가 같은 상태에서 B가 포맷을 했던지 뭘 했던지, 변경이 되어서 공유키가 충돌 하는 것이다. -linux에서의 해결법 서버의 ssh 키를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 key 정보를 초기화 해준다. 1 ssh-keygen -R [ IP주소 or Domain Name ] -window도 ssh가 지원되면서 window로 ssh 접속을 많이 하는데, 아래 경로에 있는 파일에서 서버 IP주소에 해당하는 key 정보를 삭제하면 된다. 1 %User..